
하지정맥류 합병증 때문에 걱정되시나요? 너무 걱정하지마시고 제 이야기를 잘 들어주세요.
안녕하세요. 흉부외과 전문의 김병준 원장입니다. 저는 흉부외과 전문의로서 20년 넘게 하지정맥류를 치료해왔는데요.
오랜 시간 많은 환자들을 만나고 치료하면서
가장 안타까운 것은 초기에 치료 받지 않는
환자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하지정맥류 = 만성정맥질환

하지정맥류의 마지막 글자인 ‘류’는 ‘혹 류瘤’자로 다리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가 ‘하지정맥류’라고 부르는 것은 사실 하나의 증상을 말하기도 하며, 질환의 정확한 이름은 ‘만성정맥질환’인데요.
'만성정맥질환'은 다리에서 심장으로 올라가야 할 혈액이 오히려 아래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정맥순환시스템 장애입니다.
한 번 손상된 정맥순환시스템은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혈액이 계속 역류하면서 혈관에 혈액이 고이고 혈관이 늘어나는 증상, 즉 하지저의 정맥이 혹처럼 부푸는 하지정맥류가 나타나는 것이죠.
이와 함께 여러 가지 다리 불편 증상, 통증이 나타나고 악화되면 만성정맥부전증이라는 하지정맥류 합병증 단계까지 진행하게 됩니다.
만성정맥질환 하지정맥류 CEAP 분류법

만성정맥질환의 진행단계를 파악하기 위해 7단계로 병의 진행을 나눈 CEAP 분류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요. CEAP 분류법이란 임상적(Clinical), 병인적(Etiological), 해부학적(Anatomical), 병리학(Pathophysiological)에 따라 만성정맥질환(하지정맥류)을 분류한 방법으로 1993년 미국 정맥 포럼에서 처음 발표된 후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CEAP분류법 – 하지정맥류 1단계

1단계에서는 발목, 종아리, 허벅지 부위에 굵기 1mm 미만의 가느다란 붉은 실핏줄, 즉 모세혈관과 2~3mm의 구불구불한 푸른색 혈관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CEAP분류법 – 하지정맥류 2~3단계

2단계는 정맥류인데요. 만성정맥질환의 원인 혈관인 두 개의 복재정맥. 사타구니에서 시작해서 발목까지 내려오는 대복재정맥(GSV, great saphenous vein)과 오금에서 종아리 뒤쪽으로 내려오는 소복재정맥(SSV, small saphenous vein)에서 역류가 있는 상태입니다.
복재정맥의 역류로 인해 연결된 표재정맥들이 혹처럼 돌출되어 육안으로 보이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이렇게 보이는 혈관이 없더라도 역류와 정체가 나타난다면 이를 잠복성 하지정맥류라고 합니다.
3단계 부터는 하지정맥류 합병증 단계인 ‘만성정맥부전증(CVI, chronic venous insufficiency)’에 접어들게 되는데요. 3단계부터는 항상 다리가 퉁퉁 부어있는 부종 증상이 나타납니다. 부어있는 다리를 눌렀을 때 살이 바로 올라오지 않고 푹 들어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CEAP분류법 – 하지정맥류 4단계

4단계에서는 하지정맥류 합병증으로 피부의 변화가 나타납니다.
피부와 피하조직에 산소와 영양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고 염증이 반복적으로 생기면서 발목과 다리 부위에 가려움증이 나타나게 되고 피부가 딱딱해지고 두꺼워지는 하지정맥류 합병증, 피부지방경화증이 나타납니다. 또 정강이와 발목의 색이 다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CEAP분류법 – 하지정맥류 5~6단계

5, 6단계에서는 하지정맥류의 중증 합병증인 피부 괴사와 궤양이 나타납니다.
오랫동안 병이 진행된 경우 피부가 얇고 약하기 때문에 상처가 생기기도 아주 쉬워지는데요. 이 상태에서 타박상이나 작은 상처들이 생기면 피부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상처가 점점 퍼져 괴사, 궤양으로 악화되는 것입니다.
또 외상이 없더라도 염증으로 상처가 생기고, 또 회복이 안 되면서 피부 괴사와 궤양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하지정맥류로 인해 피부 궤양이 생겼다?
이런 하지정맥류 합병증은 생소하실 수도 있는데요.
치료를 하다보면 피부 괴사, 궤양까지 하지정맥류 합병증이 진행된 환자분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이 중에 많은 분들이 하지정맥류로 인한 증상일거라고 생각을 못하시고 피부과 치료를 받으시는데요.
이 경우는 단순한 외상이 아니라 정맥 혈액순환의 문제이기 때문에 피부 겉면을 소독하거나 소염제를 복용하셔도 원인을 고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히 치유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병의 원인을 찾지 못하시다가 돌아돌아 오셨다는 분들이 많으신거죠.
피부 괴사, 궤양 동반된 심한 하지정맥류 치료는 어떻게?
피부 괴사, 궤양이 동반된 경우 피부를 무리하게 절개하는 외과적 수술은 시행하기 어렵습니다.
유럽임상진료지침에서는 이렇게 피부 괴사, 궤양이 동반된 심한 하지정맥류의 경우 '초음파 유도하 혈관경화요법(UGFS, Ultrasound guided foam sclerotherapy)'이라는 비수술적 치료법을 시행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초음파 유도하 혈관경화요법이란 초음파 화면을 보면서 하지정맥류 원인 혈관과 치료해야 할 혈관에 거품 형태의 혈관경화제를 주사해 혈관을 폐쇄-흡수 시키는 치료법인데요. 최근 혈관 초음파 장비의 발달과 경화제 약물 운용 방식에 대한 의술이 발달하면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하지정맥류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하지정맥류 합병증 악화되기 전에 치료하는 것이 우선!
심한 하지정맥류라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그렇다고해서 너무 오랫동안 방치하는 것보다 치료를 서두르시는 것이 더 현명하겠습니다.
다리에 붉은색 실핏줄이나 푸른 혈관이 보이시나요?
오후가 되면 다리가 무겁고 욱신거리시나요?
저녁마다 종아리가 빵빵하고 터질 것 같나요?
밤에 종아리에 쥐가 나서 잠을 자주 깨나요?
오래 앉아있으면 다리가 많이 붓나요?
우리가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증상들은 좀 더 빨리 병을 치료하고 더 큰 병을 예방하기 위해 보내는 신호입니다. 이 신호를 무시하지 마시고 조기 진단과 예방, 치료를 통해 평생 다리 건강을 지키시길 바랍니다.